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ean Definition
- 마스크 5부제
- svn 수동 설치
- 이클립스
- 마스크 구매 사이트
- 이클립스 제목표시줄
- Spring Framwork
- 마스크 구매
- embedded tomcat
- @Bean
- 코로나 정보처리기사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 코로나 정보처리기사 필기 연기
- 약국 구매
- 마스크구입처
- Annotaion
- 정보처리기사 연기 코로나
- BeanFactory
- java
- Singleton Container
- KF 94 마스크 구매
- 마스크구입
- 역슬래시 자동생성
- 2020 정보처리기사
- @Configuration
- 정보처리기사 필기 연기
- ApplicationContext
- 이클립스 워크스페이스 이름 표시
- spring framework
- spring
- Today
- Total
목록Development Study (10)
paranjong
배치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 Tasklet을 사용한 Tasklet을 사용한 Task 기반 처리 배치 처리 과정이 비교적 쉬운 경우 쉽게 사용 대량 처리를 하는 경우 더 복잡 하나의 큰 덩어리를 여러 덩어리로 나누어 처리하기 부적합 @Bean public Step taskBaseStep(){ return stepBuilderFactory.get("taskBaseStep") .tasklet(this.tasklet()) .build(); } private Tasklet tasklet(){ return (contribution, chunkContext) -> { List items = getItems(); log.info("Task Item size : {}", items.size()); retu..
싱글톤 패턴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 객체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아야함.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함.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1. static 영역에 객체를 딱 1개만 생성해둔다.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2. public으로 열어서 객체 인스터스가 필요하면 이 static 메서드를 통해서만 조회하도록 허용한다.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3...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 BeanDefinition 빈 설정 메타정보 역할과 구현을 개념적으로 나눈 것 XML을 읽어서 BeanDefinition을 생성 자바 코드를 읽어서 BeanDefinition을 생성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코드인지, xml인지 몰라도 된다. 오직 BeanDefinition을 알면 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스프링 빈을 생성한다 AnnotationConfigApplcationContext는 AnnotatedBeanDefinitionReader를 사용해서 AppConfig.class를 읽고 BeanDefinition을 생성한다. 새로운 형식의 설정정보가 추가되면, xxxBeanDefinitionReader를 만들어서 BeanDefinition을 생성하면 된다...
BeanFactory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다.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getBean()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했던 대부분의 기능은 BeanFactory가 제공하는 기능이다.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한다. 빈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BeanFactory가 제공해주는데, 그러면 둘의 차이는 뭘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물론이고, 수 많은 부가기능이 필요하다. ApplicationContext가 제공하는 부가기능 메시지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예를 들어서 한국에서 들어오면 한국어로, 영어권에서 들어오면 영어로 출력 환경변수 로컬, 개발, 운영등을 구분해서 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