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Study/Spring Framework
[Spring] IoC, Di 그리고 컨테이너
paranjong
2022. 9. 24. 14:44
- 기존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서버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고 실행함.
- 한마디로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컨트롤함.
- 반면에 AppConfig가 등장한 이후에 구현 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은 이제 AppConfig가 가져옴
-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괸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이라 한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가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맞음.
- 반면에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라이브러리다.
의존관계 주입DI(Dependency Injection)
- OrderServiceImpl 은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에 의존한다. 실제 어떤 구현 객체가 사용될지는 모른다.
-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 한다.
IoC 컨테이너, DI 컨테이너
-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을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라 한다.
-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에는 주로 DI 컨테이너라 한다. 또는 어샘블러, 오브젝트 팩토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